Page 20 - Sapyoung
P. 20
이러한 공공외교의 새로운 면모를 강조하기 위해서 신(新)공공외교
나 공공외교 2.0 등과 같은 용어가 쓰이기도 한다.
새로운 공공외교의 부상은 두 가지 차원에서 파악되는 세계정
치의 변화를 배경으로 한다. 먼저, 공공외교에 대한 관심 뒤에는 소
프트 파워(soft power)의 부상으로 요약되는 세계정치의 변화가 있
다. 소프트 파워는 원래 미국의 국제정치학자인 조지프 나이(Joseph
Nye)가 1990년대 초반에 소개한 개념이다. 소프트 파워에 대한 논
의가 본격적으로 국제정치학계의 관심을 끈 시기는 9· 11테러 이후
이다. 미국은 반(反)테러를 명분으로 전쟁을 수행하면서 한 가지 교
훈을 얻었다. 탈냉전 이후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여겨지던 미국
은 반테러 전쟁을 통해서 오히려 자국의 정책에 대한 국제 여론의
악화를 경험해야만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무리 초강대국이라 하
더라도 ‘힘’으로만 밀어붙여서는 안 되고 궁극적으로 상대방을 설득
하고 감동시켜 내 편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게 된
것이다(Nye 1991; 2004).
이러한 맥락에서 군사력이나 경제력과 같은 하드 파워(hard
power)를 바탕으로 하는 부국강병의 국제정치뿐만 아니라 기술, 정
보, 지식, 문화와 같은 소프트 파워의 자원을 바탕으로 세계인의 마
음을 얻는 커뮤니케이션의 세계정치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사실 국
가의 경계를 넘나드는 국제 커뮤니케이션이나 국제 문화교류에 대
한 논의는 예전부터 있어왔다. 그럼에도 최근의 논의가 각별한 의미
를 갖는 이유는 권력이라고 하는(그것도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된) 개념
의 렌즈를 통해서 기술, 정보, 지식, 커뮤니케이션, 문화 등의 변수에
접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소프트 파워의 세계정치
18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2022-05-11 오후 6:16:12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18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18 2022-05-11 오후 6:1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