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Sapyoung
P. 65
원에서 여러 실무 부처들이 나서고 있는 업무이다. 예를 들어, 문화
관광부가 추진하는 국제문화교류 사업이나 교육부의 학술·지식·
언어 분야의 국제교류, 과학기술과 정보통신담당 부처의 IT분야 국
제교류협력사업, 그리고 기획재정부와 수출입은행이 관여하는 국제
개발협력사업 등이 있다. 따라서 공공외교를 이 중의 어느 한 실무
부처가 담당하는 국제교류 정책의 차원에서만 이해해서는 곤란하
다. 궁극적으로 넓은 의미의 공공외교는 문화외교뿐만 아니라 과학
기술외교, 기여외교, 교육과 지식외교 등을 모두 아우르는 한국 외
교의 새로운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과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파악된 공공외교는 네트워크 외교로서의 특성
상 어느 한 주체가 독점하는 것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이러한 맥
락에서 단일한 ‘조직’이 아니더라도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외교를 전
체적으로 네트워킹하는 존재가 필요하다. 물론 네트워킹을 통한 조
율의 기능이라는 것은 말은 쉽지만 실제로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각기 이권이 달려 있는 정부 부처들 사이에서 공조의 네트워크
를 만든다는 것은 생각처럼 쉽지 않다. 그렇지만 범정부적 차원에서
공공외교 분야의 ‘메타-거버넌스(meta-governance)’의 기능을 담당
하는 추진체계를 만드는 일은 효용성이 매우 클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범정부적 조율기구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가? 우선은 기존에 한국의 경제발전을 이끌었던 ‘발전국가’의 경우
처럼 모든 것을 통제하려는 발상을 넘어서야 할 것이다. 이는 중장
기 기본계획을 세우는 기존의 ‘독(獨) 마인드’로부터 여럿이 함께 하
는 ‘공(共) 마인드’로의 이행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의
네트워크를 상대국의 네트워크로 연결시켜주는 중개자의 역할이나
제1장 공공외교의 이론적 이해 63
2022-05-11 오후 6:16:21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63 2022-05-11 오후 6:16:21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