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2 - Sapyoung
P. 72
역사만큼 오래되었다고 언급했다(Melissen 2005, 3). 특히 현대 공공
외교가 등장하기 전에 국제정치의 장에는 프로파간다 활동이 국가
전략으로 오랫동안 존재해왔고 공공외교의 역할과 프로파간다 활
동에 유사한 점이 많았기 때문에 일반 대중의 시각에서는 비슷한 국
가 활동으로 인식되었다. 그렇다면 공공외교는 프로파간다와 어떻
게 구별될까? 왜 현대의 많은 국가들이 조직과 예산을 겸비한 외교
정책의 한 축으로 공공외교를 운영할 만큼 공공외교가 중요해지기
시작했을까?
이 장에서는 공공외교의 기원, 즉 공공외교의 개념이 어떻게 출
현했고 국제정치의 장에서 공공외교가 왜 중요하게 인식되기 시작
했는지, 양차대전과 냉전기, 탈냉전기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공공외
교는 어떻게 변화해왔고, 초강대국과 강대국, 중견국을 포함한 현대
의 모든 국가들이 왜 공공외교를 경쟁적으로 전개하고 있는지 공공
외교의 역사적 맥락을 구체적으로 탐색한다.
1. 공공외교 용어의 등장
오늘날 우리가 일컫는 ‘공공외교(public diplomacy)’라는 용어는 최
근 등장한 신조어가 아니다. 공공외교는 양차대전이 발발하기 전 시
기인 1856년 영국 일간지 『타임스(Times)』를 비롯하여 1871년 미
국 일간지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 등 미국과 서유럽의 주요
언론에서 간헐적으로 언급되어온 터였다. 그런데 당시 공공외교는
그때마다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보다 정치인이 대중을 대하는 ‘정중
한 태도(civility)’를 뜻하기도 하고 ‘비밀외교’ 혹은 ‘밀실외교’와 반
대되는 의미에서의 ‘투명한 외교’, 즉 ‘공개외교(open diplomacy)’를
70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2022-05-11 오후 6:16:22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70 2022-05-11 오후 6:16:22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