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 Sapyoung
P. 74

갖는 부분이 타국 여론이고 공공외교가 정부 간의 전통적 외교와 달

                               리 각국의 다양한 행위자 간 상호 교류와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한다

                               는 것을 강조했다(Cull 2009, 19).
                                  학계에 이렇게 공공외교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시각이 출현하
                               게 된 것은 양차대전기와 냉전기에 미국과 소련의 체제 경쟁과 이데

                               올로기 대립에 의한 국가 중심의 프로파간다 활동과 공공외교를 차

                               별화하려고 한 미국 학계 차원의 노력이었다. 즉, 학계는 공공외교
                               를 새롭게 정의하여 미국 정부가 추구했던 외교정책과 국제정치 질

                               서를 합리화하고 미국이 구축하려는 세계적 어젠다에 명분을 제공
                               하려 했던 것이다. 그러면 냉전기 미·소 이데올로기 경쟁에서 미국

                               은 왜 국가 프로파간다 활동의 부정적 이미지를 탈피하고 보다 진전
                               된 의미에서 해외여론에 호소할 국가 활동을 필요로 했을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미국 학계가 공공외교에 관심
                               을 보인 시점이 1960년대였던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은

                               1960년대 중반 베트남전의 패배로 자국의 세계적 영향력이 약화되
                               는 것을 경험하고 있었다. 1945년부터 1970년까지 미국 경제는 전

                               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고 있었고, 1960년대 후

                               반 유럽의 데탕트 분위기와 유럽과 일본의 부상으로 당시 국제정치
                               는 전환기적 시점을 맞이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은 세계

                               정치경제 질서를 홀로 움직일 수 없었다. 즉, 세력이 쇠퇴하던 미국
                               은 원하는 세계 질서를 이끌기 위해 미국에 대한 세계여론을 의식하

                               게 된 것이다. 데탕트 시기였어도 여전히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의 대
                               립이 끝나지 않았던 당시 힘이 쇠퇴하는 미국의 세계적 리더십에 타

                               국 정부와 해외여론이 동조하느냐의 여부는 미국 정부에게 이전보






                               72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2022-05-11   오후 6:16:23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72                                                   2022-05-11   오후 6:16:23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72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