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Sapyoung
P. 41
로 강조되는 것도 이러한 ‘지식’이 매력의 구체적인 조건들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직접적인 수단이기 때문이다. 최근 IT산업 분야에서
거둔 성공이 한국 기업과 국가의 이미지를 높인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미디어는 국가의 매력을 가공하는
매력의 ‘도구론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최근 외교부의 조직 구성에도 변화가 생겼다. 정책
공공외교나 지식공공외교와 같은 담당 부서들이 생긴 것이다. 공공
외교가 어느 한 나라의 정부가 상대 국가의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외교라면, 정책공공외교는 상대 국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엘리트층을 집중적으로 겨냥한 외교이다. 가령 북한 문제와 관
련하여 미국의 여론 주도층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만나서 한국의
입장을 설명하고 협력의 필요성을 피력하는 공공외교 활동을 떠올
려볼 수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 활용되어온 정책공공외교 활동이다.
이에 비해 최근에는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과 같은 다양한 소
셜미디어를 활용한 정책공공외교가 추진된다. 이런 점에서 보면 외
교부의 홈페이지 자체가 굉장히 중요한 정책공공외교의 창구이다.
지식공공외교는 지식을 다루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이와 관련
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빅데이터 외교의 필요성이 거론
되고 있다. 예전에는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했을 여론이나 정세를 매
스미디어나 소셜미디어에서 생성되는 수많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굉장히 큰 규모의 데이터에서 패턴을 추출하여 개
별적인 데이터에선 볼 수 없었던 어떤 흐름을 읽어내는 작업이다.
다양한 분석 기법들이 생기고 있고, 그것을 외교에 활용하는 방식
자체도 활발하게 실험되고 있다. 이 밖에도 상대국의 국민에게 한국
제1장 공공외교의 이론적 이해 39
2022-05-11 오후 6:16:17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39 2022-05-11 오후 6:16:17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