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Sapyoung
P. 85
것이었으나 소련의 프로파간다에 대항하는 활동만이 의회로부터
찬사를 받고 여타 활동은 심각한 비판을 받았음을 언급했다. 일찍이
USIA는 정부 차원에서 발신되는 정보가 국제사회에서 중립적인 정
보로 인식될지 혹은 프로파간다 메시지로 받아들여질지는 정보를
접하는 자의 시각에 달려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냉전기 소련도 미국처럼 국가 프로파간다 활동을 왕성하게 펼
쳤다. 소련의 국가보안위원회(KGB) 예산의 30% 이상이 심리전 공
작에 투입되었던 만큼 소련은 세계 최고의 전술을 구비한 다양한 비
밀공작 활동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소련의 간첩 조직들은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대학가에서 이들 국가의 정책방향을 분석하고 비밀
작전 수행을 위해 주요 인물을 정보원으로서 포섭하며 민감한 군사
시설 및 연구물에 접근하는 활동을 전개해왔다. 특히 서구 학계의
투명성과 공정한 절차를 통해 지원되는 장학금 체계나 구직 과정은
소련이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조건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양차대전이 종료된 냉전기에 오히려 공공외교
로서의 문화교류 혹은 문화외교(cultural diplomacy), 그리고 세계청
중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해외방송이 국가에 의
해 활발하게 장려되었다는 것이다. 즉, 전쟁이 아닌 평시에 대립하
는 두 진영이 세계청중의 마음과 생각을 사로잡는 방책으로서 문화
와 교육을 공공외교와 프로파간다 활동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했던
것이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활동의 초점은 세계적 차원에서 반공산
주의(anti-communism)와 미국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는 것
에 맞춰졌다. 미국의 USIA는 공산주의 이념의 모순, 강제노동소, 자
유 억압, 공산품 부족 등을 비판하고 자유진영 국가들이 옹호하는
제2장 공공외교의 역사적 이해 83
2022-05-11 오후 6:16:27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83 2022-05-11 오후 6:16:27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