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0 - Sapyoung
P. 90
그러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가 한국의 시민단체와 네티즌들
이 2000년대 초반부터 전개해왔던 한국의 영토 명칭이나 역사 정
보 및 지식과 관련된 일련의 온라인 운동이다. 한국 네티즌들은 해
외의 다양한 기관과 단체를 상대로 인터넷 공간에 정확하게 기술되
어 있지 않은 동해나 독도의 표기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는 오류시
정 활동을 펼쳤다. 네티즌들의 이러한 지식운동은 2012년 미국 교
과서의 한국 영토 명칭 오류를 시정할 것을 요구하는 미국 정부를
상대로 한 온라인 청원운동으로서 전개되었고, 실제로 미 의회에서
2014년 관련 법안이 통과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지
식운동에서 네티즌들은 온라인에서 자발적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참고 2-4
집단지성/집합지성이란?
피에르 레비(Pierre Levy)는 21세기의 지식 공간을 집합지성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그는 ‘집단지성’ 혹은 ‘집합지성’이 ‘보편적으로 어디에나 편재하는 지성(universally
distributed intelligence)’으로 상시적으로 개선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조율되어 효과
적인 동원이 가능한 지성이라고 정의했다. 그가 말하는 ‘지식’은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것들의 ‘합’이며, 이렇게 합쳐진 총체적인 지성은 현대의 복잡한 문제를 풀기
에 더 적합하다. 하워드 라인골드(Howard Rheingold)도 『영리한 군중(Smart Mobs)』
(2002)과 『영리한 네트워크(Net Smart)』에서 개인과 군중은 무지할 수 있지만 디지
털 네트워크에 연결된 대중은 하나의 가상 공동체(virtual community)이므로 뛰어
난 개인의 영리함을 뛰어넘는다고 주장했다. 즉, 디지털 네트워크에 연결된 개인은
‘사회적 디지털 비결(social-digital-knowhow)’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제임스 서로
위키(James Surowiecki)도 『군중의 지혜(The Wisdom of Crowds)』에서 집합지성이 특
정 전문가의 분석보다 정확하며 집단의 분위기가 개인의 의견과 감정을 능가한다
고 단언했다.
88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2022-05-11 오후 6:16:28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88 2022-05-11 오후 6:16:28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