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 Sapyoung
P. 91
수평적, 개방적 방식으로 지적협업을 도모했으며 국제사회를 직접
적으로 설득하는 등 집단지성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했다(송태은 2016).
한편 탈냉전 이후 세계적 민주화의 움직임과 시민사회의 성장,
그리고 달라진 정보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반응하여 가장 먼저 공공
외교의 전개 방식을 변화시킨 국가는 다름 아닌 미국이다. 9· 11 테
러 이후 부시 행정부는 세계적으로 확산된 반미감정을 국가적 차원
에서 대응하고자 공공외교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2010년 오바
마 행정부의 ‘제1차 4년 외교개발검토보고서(The First Quadrennial
Diplomacy & Development Review, QDDR)’는 공공외교를 미국 외교
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설정하고, 해외 각지에 미디어 허브를 확장
할 것과 미국을 대변하면서 세계의 어떤 장소와 시점에서도 공공토
론에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터의 역할을 수행할 인력을 확보할
것을 주문했다. 이후 2015년 미국은 국내외 미국인이 시민외교관
(citizen diplomat)으로서 정부의 다양한 활동에 개입할 것을 호소하
면서 미국 정부와 시민 모두가 미국과 뜻을 같이하는 해외 시민사
회, 시민운동, 개혁가, 해외 지역 공동체와 파트너십을 강화할 것을
강조했다.
2. 각국 공공외교의 차이
탈냉전기 20세기 후반부터 국가적으로 독립적인 정부기관과 조직,
예산과 방대한 프로그램으로 공공외교를 운영해온 최초의 국가는
미국이다. 특히 세계 패권국 미국의 공공외교는 미국이 원하는 세계
질서를 만들기 위한 세계적 어젠다와 외교정책 기조를 반영하기 때
제2장 공공외교의 역사적 이해 89
2022-05-11 오후 6:16:29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89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89 2022-05-11 오후 6:1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