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Sapyoung
P. 89
다. 요컨대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의 출현은 정보커뮤니케이션 환경
도 민주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국경을 초월하여 획득
할 수 있고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정보에 대한 사실 확인과
교차 검증이 가능한 정보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각국 정부는 냉전
기에 펼쳤던 방식의 일방적인 국가 프로파간다 활동을 전개하기 어
렵다. 대신 각국 정부는 자국이 선호하는 세계적 어젠다에 대한 국
제사회의 지지를 얻어내거나 자국의 이미지와 평판을 증진하기 위
해 국내외 청중의 마음과 생각을 논리적으로 설득하고 감정적 공감
을 얻기 위한 방도로 공공외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탈냉전기, 특
히 인터넷의 등장 이후 각국이 공공외교에 대해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세계정치 이슈와 외교정책 정보에 대한 대중의 접근이
급속도로 향상된 것과도 관련이 있다. 개인이 국가가 추구하는 공공
외교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은 곧 대중의 지지가 뒷받침된, 영
향력의 범위와 반경이 더 확장된 공공외교를 의미한다.
공공외교 활동에 시민이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은 단순히 공공외
교 주체가 많아진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시민사회의 공공외교 참
여는 오히려 더 영리하고 효과적인 공공외교 활동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이끌어내기 때문이다. 개인의 지혜와 아이디어가 모인
집단지성 혹은 집합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은 다양한 국제문제
에 대해 국가가 고안해낼 수 없는 대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또한 시
민사회가 공공외교의 주체로 활동하는 것은 오히려 정부가 전면에
나설 때 국가 프로파간다로 오해받을 수 있는 문제를 불식시킬 수
있다.
제2장 공공외교의 역사적 이해 87
2022-05-11 오후 6:16:28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87 2022-05-11 오후 6:16:28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_개정2판_본문최종.indb 87